본문 바로가기

Study

(21)
Java 기초_자료형(기본형, 참조형), 변수 및 상수 소개 0. 자료형 1. 변수 (Variable) 프로그램에 전달되는 정보나 그 밖의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함 즉, 상수를 기억시킬 수 있는 기억공간 컴퓨터는 지시와 저장하는 역할이 다르다. CPU : 모든 일을 처리 (ex. 컴파일러 : CPU가 이해하기 쉬운 코드로 바꾸어주는 것 ) RAM : 저장공간 (RAM에 저장된 데이터로 CPU가 일처리 -> CPU가 처리한 데이터를 다시 RAM에 저장 ...) 변수 : RAM에 저장된 데이터의 '위치' 자료형 : 데이터의 '크기' 변수선언 : 자바가상머신 (JVM) 에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메모리를 할당해 달라고 부탁하는 것 변수선언 데이터형(자료형) 변수명(사용자 정의 명칭); (사용자 정의 명칭 : https://willbedeveloper...
Java 기초_개발환경 구축 0. 사용자 정의 명칭 : 사용자가 정의한 이름이라는 뜻 자바에서는 폴더의 이름, 클래스의 이름(HelloJava.class), 메서드의 이름(함수명) 그리고 필드의 이름(변수) 등을 정의할때 사용한다. 사용자 정의 명칭의 규칙 첫 글자는 $, _, 영문 대소문자 여야하며 한글도 가능하지만 권장하지는 않는다. 글자수 제한이 없다. (알아보기 쉽게 만들기!) 공백문자를 포함할 수 없다. (Hello Java 라고 명을 정의하면 컴퓨터는 두 단어로 인식하기 때문에 HelloJava 또는 Hello_java라고 해 준다.) 특수문자 (@, #, %, ^, &, !, ?) 사용불가 숫자는 첫 글자가 아닌 경우 사용 가능 (1Java 같은 이름은 불가능, Java1 은 가능) 예약어 사용불가 (대표적인 예약어 :..
Eclipse 로 Java 시작하기 이클립스로 자바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해줘야한다. 어떤 작업공간을 만들겠다고 정의를 해 주는 것이다. 1. 이클립스를 켜 준 상태에서 상단바 File > Java Project 클릭 2. project name 은 ch01로 임의로 정해주었다. 3. ch01 밑으로 JRE 와 src 폴더 두 개가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 src 폴더 밑에 자바 클래스들을 만들어준다. src 에서 우클릭 > New > Class 클릭 4. hellojava 는 좀 식상해서 class 명을 HiJava로 해주었다. 5. 아래와 같이 타이핑 해 준다. package ch01; import java.lang.*; public class HiJava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..
문자->아스키 / 아스키->문자 ord(문자) : 아스키 코드를 반환 chr(숫자) : 숫자에 맞는 아스키 코드를 반환
람다식이란? 람다식, 람다함수라고 불리며 익명함수를 지칭하는 용어이다. 장점 코드의 간결성 - 효율적인 람다함수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루프문의 삭제가 가능하고 동일한 함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. 필요한 정보만을 사용하는 방식을 통한 퍼포먼스 향상 - 메모리상의 효율성 및 불필요한 연산의 배제가 가능하다. 단점 모든 원소를 전부 순회하는 경우 람다식이 조금 느리다. 디버깅시 함수 콜스택 추적이 극도로 어렵다. 람다식 남용시 코드를 이해하기 어렵기에 주석을 권장한다. 전통적인 방법 for i in range(10): print(i) 람다식을 이용한 방법 (map함수 이용) map(lambda x: print(x), range(0, 10)) list comprehension 을 사용 [print(x) for x in [0, ..
문자열 공백제거 문자열 공백을 제거하는 3가지 방법 replace(" ", "") : 모든 공백 제거 strip(), lstrip(), rstrip() : 양쪽, 왼쪽, 오른쪽 공백 제거 re.sub() : 정규표현식 사용으로 원하는대로 공백 제거 re.sub() 에 대해서는 사용할 일이 있을때에 다시 다루어 봐야겠다.
문자열 정수형으로 바꾸기, 데이터 타입(자료형) 확인하기 A = "7" print(type(A)) # [결과] # A = "7" print(type(int(A))) # [결과] # type() : 데이터 타입(자료형) 확인
현재시간 가져오기 import datetime Datetime = datetime.datetime.now() # 년-월-일 시:분:초 date = Datetime.date() # 년-월-일 year = date.strftime("%Y") # 년만 출력 New = datetime.datetime.now().year # 한 줄로 바로 년도만 출력할 수도 있음 [ 결과 ]